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는 이탈리아 축구의 연간 대회로, 세리에 A 우승팀과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이 맞붙는 경기이다. 1988년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세리에 A 우승팀의 홈 구장에서 개최되었으나, 이후 해외 개최도 늘어났다. 2023년부터는 세리에 A, 코파 이탈리아 우승 및 준우승팀이 참가하는 4팀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유벤투스가 최다 우승 구단이며, 잔루이지 부폰이 최다 출장 및 최다 우승 선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축구 대회 -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
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는 이탈리아의 축구 컵 대회로, 우승팀에게 코파 이탈리아 진출권과 세리에 C 승격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부여하며, 2023-24 시즌에는 칼초 카타니아 가 우승했다. - 이탈리아의 축구 대회 -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
수페르코파 디 세리에 C는 이탈리아 세리에 C의 각 조 우승팀들이 참가하는 컵 대회로, 1926년 처음 도입 후 폐지되었다가 1999년에 재개되었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취소되기도 했다. - 198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멜라네시아컵
멜라네시아컵은 멜라네시아 지역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축구 대회로, 피지가 최다 우승국이며, 한동안 중단되었다가 MSG 총리컵이라는 이름으로 재개최되었고 OFC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기도 한다. - 198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는 1988년부터 1997년까지 CONMEBOL 주관으로 개최된 남미 축구 클럽대항전으로,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등 여러 국가의 클럽들이 참가하여 아르헨티나 클럽들이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다.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12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12는 유벤투스와 나폴리의 경기에서 유벤투스가 4-2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으며, 중국 베이징에서 6만 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파올로 실비오 마촐레니 주심으로 진행되었다.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13
유벤투스와 라치오가 맞붙은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2013은 유벤투스가 4-0으로 라치오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경기였다.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
---|---|
기본 정보 | |
대회 명칭 | 이탈리아 슈퍼컵 |
영어 명칭 | Italian Super Cup |
이탈리아어 명칭 | Supercoppa Italiana |
다른 이탈리아어 명칭 | Supercoppa di Lega |
EA 스포츠 FC 슈퍼컵 명칭 | EA Sports FC Supercup |
![]() | |
창립 연도 | 1988년 |
주최 기관 | 레가 세리에 A |
참가 팀 수 | 2팀 (2022년까지), 4팀 (2023년부터) |
최근 우승팀 | } |명칭1=인테르|연도1=1908|명칭2=암브로시아나|연도2=1928|명칭3=암브로시아나-인테르|연도3=1932|명칭4=인테르나치오날레|연도4=1945 |공식명칭=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문양=600px Nero e azzurro strisciato con stella.png |팀국적=ITA |축약=}|INT}} |oc=}|} }} }} (8회 우승) |
최다 우승팀 | 유벤투스 (9회 우승) |
현재 시즌 | 2024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웹사이트 | 레가 세리에 A 공식 웹사이트 |
미디어 | |
방송사 | Mediaset |
국제 방송사 목록 | 코파 이탈리아 미디어 보도 |
2. 역사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는 1988년 삼프도리아 구단 팬들의 저녁 식사 자리에서 제안되어 시작되었으며, 레가 나치오날레 프로페시오니스티의 승인을 받아 창설되었다.[15]
초기에는 이탈리아 챔피언의 홈 구장에서 대회가 열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중립 구장이나 코파 이탈리아 참가 구단의 홈 구장에서 열리는 경우도 있었다.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에서 총 11번으로 가장 많은 대회가 개최되었다.[16]
1995년 대회부터 더블을 이룬 구단이 있을 경우 세리에 A 우승 구단과 코파 이탈리아 준우승 구단 간의 대전이 이루어지는 규칙이 적용되었다. 1996년 대회에서는 피오렌티나가 처음으로 코파 이탈리아 우승 구단으로서 수페르코파 트로피를 획득했다.
경기 정규 시간이 무승부로 종료되면 바로 승부차기가 진행되었으나, 이후 연장전과 골든골, 실버골 규칙이 도입되었다가 폐지되었다. 2011 대회에서는 최초로 같은 도시를 연고로 하는 두 구단(인테르와 밀란) 간의 밀라노 더비가 성사되었다.
1993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처음으로 해외 경기가 개최된 이후, 리비아, 중국,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 여러 국가에서 대회가 열렸다. 2018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향후 5번의 대회 중 3번을 개최하기로 계약했다.[2]
최근에는 ICC 개최나 UEFA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일정 등으로 인해 대회 개최 시기가 유동적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많다.
2. 1. 대회 구상 및 창설 (1988년)
1988년, 삼프도리아 구단 팬들의 저녁 식사 자리에서 저널리스트 엔초 도르시가 당시 구단 회장이었던 파올로 만토바니에게 잉글랜드의 채리티 실드와 같이 이탈리아 챔피언과 컵 대회 우승팀 간의 대회를 만들자는 제안을 했다.[15] 이 제안은 레가 나치오날레 프로페시오니스티의 회장인 루차노 니촐라에게 전달되어 승인되었다.[15]2. 2. 초기 대회 (1988년 ~ 1990년대 초)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대회는 1988년에 구상되었다. 삼프도리아 구단 팬들의 저녁 식사 자리에서 저널리스트 엔초 도르시가 당시 구단 회장이었던 파올로 만토바니에게 잉글랜드의 채리티 실드와 같은 대회를 제안했고, 이것이 루차노 니촐라 레가 나치오날레 프로페시오니스티 회장에게 전달되어 승인되었다.[15]첫 대회는 1988년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1988 서울 올림픽과 겹쳐 1989년 6월로 연기되었다. 이후 몇몇 대회를 제외하고는 거의 매년 여름에 열리며 이탈리아 축구 시즌의 시작을 알리는 대회가 되었다. 밀라노의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에서 총 11번으로 가장 많은 대회가 열렸다.[16]
처음 두 대회는 밀란(1988년)과 인테르(1989년)의 홈 구장인 밀라노에서 열렸다. 1990 대회에서는 나폴리가 홈에서 경기를 치렀지만, 1991년 대회에서 삼프도리아가 제노바에서 우승한 후, 리그 본부는 세리에 A 우승 구단의 홈 구장에서 대회를 개최하는 것으로 규정을 변경했다.
2. 3. 규정 변화 및 해외 개최 (1990년대 중반 ~ 현재)
세리에 A와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이 동일할 경우, 코파 이탈리아 준우승팀이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에 참가한다. 이러한 상황은 1995년, 2000년, 2006년, 2010년,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총 8번 발생했다.[1] 2016년에는 AC 밀란이 코파 이탈리아 준우승팀 최초로 수페르코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초기 규정은 무승부 시 승부차기로 바로 이어졌으나, 2001년과 2002년에는 연장전 및 골든골 규칙이 도입되었다. 2003년에는 실버골 규칙이 적용되어 유벤투스와 밀란이 최초로 연장전을 치렀으나, 승부가 나지 않아 승부차기 끝에 유벤투스가 우승했다.[17] 2004년부터는 실버골, 골든골 규칙이 폐지되었다.[18]
1993년과 2003년에는 미국에서, 2002년에는 리비아에서 개최되는 등 해외에서도 대회가 열렸다. 2009년 이후로는 중국,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9번의 대회가 개최되었다. 특히 2018년에는 세리에 A가 사우디아라비아 일반스포츠청과 계약을 맺어 향후 5번의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중 3번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하기로 했다.[2]
2023년부터는 새로운 방식이 도입되어, 세리에 A와 코파 이탈리아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하는 4개 팀 토너먼트 형식으로 변경되었다.[3]
2. 4. 4개 팀 체제 도입 (2023년 ~ 현재)
2023년 3월 13일, 세리에 A는 2023년 대회부터 시작되는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의 새로운 방식을 승인했다. 이는 전 시즌 세리에 A와 코파 이탈리아의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참가하는 4개 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3]3. 경기 방식
2022년 대회까지는 세리에 A 전 시즌 우승팀과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이 단판 승부를 펼쳤다. 만약 한 팀이 세리에 A와 코파 이탈리아를 모두 우승한 경우에는 그 팀과 코파 이탈리아 준우승팀이 출전권을 얻었다. 2018년 대회부터는 VAR이 도입되었고, 2022년 대회부터는 반자동 오프사이드 기술도 도입되었다.[9]
2023년 대회부터는 파이널 포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기존의 두 팀 외에 전 시즌 세리에 A 준우승 클럽과 코파 이탈리아 준우승 클럽도 출전권을 얻는다. 이 네 개의 출전권 중 중복되는 클럽이 있을 경우, 세리에 A 3위, 경우에 따라서는 4위 클럽이 추가로 출전권을 획득한다. 또한, 연장전도 폐지되어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바로 승부차기로 승패를 결정한다.[10]
다음은 역대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참가팀들의 기록을 정리한 표이다.
구단 | 우승 수 | 준우승 수 | 참가 수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준결승 진출 연도 |
---|---|---|---|---|---|---|
유벤투스 | 9 | 8 | 17 | 1995, 1997, 2002, 2003, 2012, 2013, 2015, 2018, 2020 | 1990, 1998, 2005, 2014, 2016, 2017, 2019, 2021 | - |
인테르 | 8 | 4 | 12 | 1989, 2005, 2006, 2008, 2010, 2021, 2022, 2023 | 2000, 2007, 2009, 2011 | - |
밀란 | 7 | 5 | 12 | 1988, 1992, 1993, 1994, 2004, 2011, 2016 | 1996, 1999, 2003, 2018, 2022 | - |
라치오 | 5 | 3 | 9 | 1998, 2000, 2009, 2017, 2019 | 2004, 2013, 2015 | 2023 |
로마 | 2 | 4 | 6 | 2001, 2007 | 1991, 2006, 2008, 2010 | - |
나폴리 | 2 | 3 | 5 | 1990, 2014 | 2012, 2020, 2023 | - |
삼프도리아 | 1 | 3 | 4 | 1991 | 1988, 1989, 1994 | - |
파르마 | 1 | 3 | 4 | 1999 | 1992, 1995, 2002 | - |
피오렌티나 | 1 | 1 | 3 | 1996 | 2001 | 2023 |
토리노 | 0 | 1 | 1 | - | 1993 | - |
비첸차 | 0 | 1 | 1 | - | 1997 | - |
순위 | 선수 | 소속팀(들) | 득점 | 출전 |
---|---|---|---|---|
1 | 파울로 디발라 | 유벤투스 | 4 | 6 |
2 |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 유벤투스 | 3 | 6 |
사무엘 에투 | 인터 밀란 | 3 | 3 | |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 인터 밀란 | 3 | 4 | |
안드리 셰우첸코 | AC 밀란 | 3 | 3 | |
카를로스 테베스 | 유벤투스 | 3 | 2 |
3. 1. 2개 팀 대진 (1988년 ~ 2022년)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는 1988년부터 2022년까지 세리에 A 우승팀과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 간의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 세리에 A와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이 같은 경우, 코파 이탈리아 준우승팀이 참가했다.[9] 초기에는 무승부 시 승부차기로 우승팀을 결정했으나, 이후 연장전과 골든골/실버골 규칙이 도입되었다가 폐지되었다.유벤투스는 1995년부터 2021년까지 총 9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17회로 최다 참가 기록도 가지고 있다. 유벤투스는 이탈리아, 아프리카(2002년 트리폴리), 북아메리카(2003년 이스트러더퍼드), 아시아(2012년 베이징, 2015년 상하이, 2018년 제다) 등 모든 대륙에서 우승한 유일한 구단이다. 또한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회 연속 참가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밀란은 1992년부터 1994년까지 대회 3연패를 달성했으며, 2016년에는 코파 이탈리아 준우승 구단으로서 최초로 우승했다. 라치오는 다양한 자격으로 총 5회 참가했다.
SSC 나폴리는 3번 참가하여 2승 1패로 최고 우승 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피오렌티나는 1승 1패, 파르마와 삼프도리아는 각각 1승 3패, 로마는 2승 4패를 기록했다.
구단 | 우승 | 준우승 | 참가 | 우승 연도 | 준우승 연도 |
---|---|---|---|---|---|
유벤투스 | 9 | 8 | 17 | 1995, 1997, 2002, 2003, 2012, 2013, 2015, 2018, 2020 | 1990, 1998, 2005, 2014, 2016, 2017, 2019, 2021 |
인테르 | 7 | 4 | 11 | 1989, 2005, 2006, 2008, 2010, 2021, 2022 | 2000, 2007, 2009, 2011 |
밀란 | 7 | 5 | 12 | 1988, 1992, 1993, 1994, 2004, 2011, 2016 | 1996, 1999, 2003, 2018, 2022 |
라치오 | 5 | 3 | 8 | 1998, 2000, 2009, 2017, 2019 | 2004, 2013, 2015 |
로마 | 2 | 4 | 6 | 2001, 2007 | 1991, 2006, 2008, 2010 |
나폴리 | 2 | 2 | 4 | 1990, 2014 | 2012, 2020 |
삼프도리아 | 1 | 3 | 4 | 1991 | 1988, 1989, 1994 |
파르마 | 1 | 3 | 4 | 1999 | 1992, 1995, 2002 |
피오렌티나 | 1 | 1 | 2 | 1996 | 2001 |
토리노 | 0 | 1 | 1 | - | 1993 |
비첸차 | 0 | 1 | 1 | - | 1997 |
년도 | 세리에 A 우승팀 | 결과 | 컵 대회 대표팀 | 경기장 | 관중 수 |
---|---|---|---|---|---|
1988 | AC 밀란 | 3–1 | 삼프도리아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19,412 |
1989 | 인테르 | 2–0 | 삼프도리아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7,221 |
1990 | 나폴리 | 5–1 | 유벤투스 | 산 파올로 스타디움, 나폴리 | 62,404 |
1991 | 삼프도리아 | 1–0 | 로마 | 루이지 페라리스 스타디움, 제노아 | 21,120 |
1992 | AC 밀란 | 2–1 | 파르마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30,102 |
1993 | AC 밀란 | 1–0 | 토리노 | 로버트 F. 케네디 기념 경기장, 워싱턴 D.C., 미국 | 25,268 |
1994 | AC 밀란 | 1–1 | 삼프도리아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26,767 |
1995 | 유벤투스 | 1–0 | 파르마[4] | 델레 알피 스타디움, 토리노 | 5,289 |
1996 | AC 밀란 | 1–2 | 피오렌티나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29,582 |
1997 | 유벤투스 | 3–0 | 비첸차 | 델레 알피 스타디움, 토리노 | 16,157 |
1998 | 유벤투스 | 1–2 | 라치오 | 델레 알피 스타디움, 토리노 | 16,500 |
1999 | AC 밀란 | 1–2 | 파르마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25,001 |
2000 | 라치오 | 4–3 | 인테르[4] | 올림피코 스타디움, 로마 | 61,446 |
2001 | 로마 | 3–0 | 피오렌티나 | 올림피코 스타디움, 로마 | 61,050 |
2002 | 유벤투스 | 2–1 | 파르마 | 6월 11일 스타디움, 트리폴리, 리비아 | 40,000 |
2003 | 유벤투스 | 1–1 | AC 밀란 | 자이언츠 스타디움, 뉴저지주 이스트 러더퍼드, 미국 | 54,128 |
2004 | AC 밀란 | 3–0 | 라치오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33,274 |
2005 | 유벤투스[5] | 0–1 | 인테르 | 델레 알피 스타디움, 토리노 | 35,246 |
2006 | 인테르 | 4–3 | 로마[4]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45,528 |
2007 | 인테르 | 0–1 | 로마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34,898 |
2008 | 인테르 | 2–2 | 로마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43,400 |
2009 | 인테르 | 1–2 | 라치오 | 베이징 국가경기장, 베이징, 중국 | 68,961 |
2010 | 인테르 | 3–1 | 로마[4]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65,860 |
2011 | AC 밀란 | 2–1 | 인테르 | 베이징 국가경기장, 베이징, 중국 | 66,161 |
2012 | 유벤투스 | 4–2 | 나폴리 | 베이징 국가경기장, 베이징, 중국 | 75,000 |
2013 | 유벤투스 | 4–0 | 라치오 | 올림피코 스타디움, 로마 | 57,000 |
2014 | 유벤투스 | 2–2 | 나폴리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 14,000 |
2015 | 유벤투스 | 2–0 | 라치오[4] | 상하이 스타디움, 상하이, 중국 | 20,000 |
2016 | 유벤투스 | 1–1 | AC 밀란[4] |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도하, 카타르 | 11,356 |
2017 | 유벤투스 | 2–3 | 라치오[4] | 올림피코 스타디움, 로마 | 52,000 |
2018 | 유벤투스 | 1–0 | AC 밀란[4] |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 61,235 |
2019 | 유벤투스 | 1–3 | 라치오 | 킹 사우드 대학교 경기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23,361 |
2020 | 유벤투스 | 2–0 | 나폴리 | 마페이 스타디움 - 치타 델 트리콜로레, 레조 에밀리아 | 0 |
2021 | 인테르 | 2–1 | 유벤투스 | 산 시로 스타디움, 밀라노 | 29,696 |
2022 | AC 밀란 | 0-3 | 인테르 |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 51,357 |
3. 2. 4개 팀 대진 (2023년 ~ 현재)
2023년부터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는 경기 방식이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세리에 A 우승팀과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이 맞붙었지만, 2023년부터는 세리에 A 우승팀,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 세리에 A 준우승팀, 코파 이탈리아 준우승팀까지 총 4개 팀이 참가하는 방식으로 확대되었다.[10] 만약 동일한 팀이 여러 대회에서 출전 자격을 얻는 경우에는 세리에 A 3위, 필요하다면 4위까지 순서대로 출전권이 주어진다.[10]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를 통해 승리 팀을 가린다.[10]
4. 역대 기록
인테르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AS 로마를 상대로 세 번의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경기를 치렀다.[4]
4. 1. 역대 결승전 결과 (1988년 ~ 현재)
우승팀진출팀
(승부차기 4-3)
(승부차기 5-3)
(승부차기 6-5)
(승부차기 6-5)
(승부차기 4-3)